728x90
반응형
AWS CLI는 AWS 를 관리하기 위한 CLI 도구이다. 콘솔창 대신 명령어를 사용해서 AWS 서비스를 제어하고 자동화할 수 있다.
AWS 에 접근하는 방법은 세 가지가 있다.
- AWS 콘솔 접근 : 사용자 이름 + 비밀번호 + MFA
- AWS CLI : access key 로 보호
- AWS 소프트웨어 개발자 키트(SDK) : access key로 보호 - 애플리케이션 코드 내에서 API 호출할 때 사용
그 중 AWS CLI 설정하는 방법을 블로깅해볼까 한다.
AWS CLI
AWS CLI는 컴퓨터에서 설정하는데 액세스키에 의해 보호될 수 있으며 터미널에서 AWS 액세스를 가능하도록 한다.
AWS CLI 사용 이유
- CLI 명령어를 통해 편리하게 액세스하고 관리할 수 있다. 스크립트 작성, 자동화에 유리
- 공용 API로 직접 액세스가 가능해서 AWS 배포, 관리, 모니터링 자동화 스크립트 작성 가능
- 오픈 소스로 GitHub에서 소스코드를 찾기 쉬움
- AWS 콘솔 대신 사용 가능
- 멀티 플랫폼 지원 - windows, macOS, Linux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사용 가능하다.
AWS CLI 설치
1. 구글에 "aws cli install version 2" 서치
2. 설치 링크 들어가기
최신 버전의 AWS CLI 설치 또는 업데이트 - AWS Command Line Interface
이전 버전에서 업데이트하는 경우 unzip 명령을 실행하면 기존 파일을 덮어쓸지 묻는 메시지가 표시됩니다. 스크립트 자동화와 같은 경우에 이러한 프롬프트를 건너뛰려면 unzip에 대한 -u 업데이
docs.aws.amazon.com
3. 운영체제(Windows) 섹션 참고
4. 다운로드 링크 클릭
5. 설치 실행
6. 설치 확인
설치 확인 명령어
aws --version
다음과 같은 답변이 반환되면 설치가 잘 된 것이다.
aws-cli/2.10.0 Python/3.11.2 Windows/10 exe/AMD64 prompt/off
윈도우 이외에도 MacOS, Linux 설치 방법을 그대로 따라하면 쉽게 설치할 수 있다.
📖 참고자료
728x90
반응형
'DevOps >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AWS] IAM Role 역할 생성하기 (0) | 2023.12.13 |
---|---|
[AWS] AWS CLI 실습 - 액세스 키(Access Key) 발급 및 간단한 명령어 입력 해보기 (0) | 2023.12.12 |
[AWS] IAM 정책 / 정책 실습 - 사용자 권한 적용하는 방법 (0) | 2023.11.22 |
[AWS] IAM 사용자 계정으로 관리자 및 그룹 생성하기 / 사용자, 그룹, 정책 알아보기 (0) | 2023.11.18 |
[AWS] S3(Simple Storeage Service) 개념 / 권한 및 정책 설정 (0) | 2023.10.19 |